취업 준비를 해도 생활비 걱정부터 자격 요건까지 복잡해 답답하시죠. 하지만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활용하면 최대 월 90만 원 수당과 맞춤형 취업지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본문에서 신청 자격·지원금·꿀팁을 확인하세요.


온라인 신청하기

신청자격

신청방법 



국민취업지원제도 요약(2025)

취업을 원하는 국민에게 상담·훈련·알선 등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, 저소득 구직자에게는 구직촉진수당 등 생계 보조를 함께 지원하는 ‘한국형 실업부조’입니다.

핵심 포인트

  • 지원대상: 만 15~69세 미취업자 중 소득·재산·취업경험 등에 따라 유형 구분(청년 특례 있음).
  • 유형: Ⅰ유형(구직촉진수당+취업지원서비스), Ⅱ유형(취업활동비용+취업지원서비스).
  • 신청: 온라인(고용24) 또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.

지원 내용 한눈에

Ⅰ유형(저소득 구직자 중심)

  • 구직촉진수당: 기본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. 부양가족 1인당 월 10만 원 추가(최대 40만 원) → 월 최대 90만 원까지 가능.
  • 취업지원서비스: 개인별 취업활동계획 수립, 직업상담, 직업훈련, 일경험, 알선, 복지 연계 등.
  • 유의: 의무 활동(상담·구직활동) 이행 시에만 수당 지급. 해당 지급주기 소득이 월 지급액을 초과하면 미지급 가능.

Ⅱ유형(취업활동비용 중심)

  • 취업활동비용: 직업훈련 참여 시 월 최대 28.4만 원(최대 6개월).
  • 지원서비스: Ⅰ유형과 동일하게 상담·훈련·일경험·알선 등 제공.
  • 특화: 2025년 청년 빈일자리 업종 연계 시 훈련참여수당(월 20만 원, 최대 6개월) 및 취업성공수당 40만 원 추가 등 일부 가산 제도 운영.

취업 성공 시 인센티브(공통)

  • 취업성공수당: 근속 조건 충족 시 최대 150만 원(정책 세부 기준에 따름).

자격 요건(요약)

Ⅰ유형 예시

  • 가구 중위소득 60% 이하 + 재산 4억 원 이하(청년은 5억 원 이하).
  • 최근 2년 내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 취업경험(요건심사형). 청년 특례·선발형 등 예외 트랙 존재.

Ⅱ유형 예시

  • 청년: 소득 기준 없이 참여 가능(세부 요건은 고용센터 안내 기준).
  • 중장년 등: 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 등 유형별 세부 요건 적용.

신청 방법

  1. 온라인: 고용24에서 회원가입 후 국민취업지원제도 메뉴로 신청.
  2. 오프라인: 가까운 고용복지플러스센터(고용센터) 방문.
  3. 필요 서류(예): 신분증, 가족관계·소득·재산 증빙, 취업경험 관련 서류 등(센터 안내에 따름).

주의 사항

  • 수당은 구직활동 의무를 성실히 이행한 경우에만 지급.
  • 사업·근로소득이 월 지급액을 초과하면 해당 지급주기 수당은 미지급 가능.
  • 동일 제도 재참여는 제한(최근 2년 내 6개월 지원받은 경우 등), 중복 수혜 제한.

빠른 체크리스트

  • 나는 현재 미취업 상태인가?
  • 가구 중위소득·재산 기준을 충족하는가(Ⅰ유형) / Ⅱ유형 참여 요건에 맞는가?
  • 의무 활동(상담·훈련·구직활동)을 이행할 준비가 되었는가?

본 요약은 2025년 고용노동부·고용24 공개자료 등을 토대로 정리되었습니다. 세부 요건·금액은 지침 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신청 전 고용센터 또는 고용24에서 최신 안내를 확인하세요.

  •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안내·금액 기준(구직촉진수당 50만 원×6개월, 부양가족 추가 월 최대 40만 원, 월 최대 90만 원), Ⅱ유형 취업활동비용 등.
  • 고용24(국민취업지원제도 안내·신청 경로).
  • 고용노동부 2025년 변경사항(청년 빈일자리 특화, 훈련참여수당·취업성공수당 추가 등).